왜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해야 하는가? (4부)
주후 1-3세기 로마제국의 무역 네트웨크 (출처: World History Encyclopedia)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왜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해야 하는가? (4부)
"주후 180년경 (초기 그리스도인 지도자인) 이레네우스에 의해
(신약성경) 정경의 결정적인 기준들이 이미 세워졌다,
이때쯤 (그 기준들에 대한) 합의가 갈리아 지방(현재 스페인)부터,
로마(현재 이탈리아)와 카르타고(현재 튀니지)를 거쳐,
알렉산드리아(현재 아프리카)에 까지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1]
- 마르틴 헹엘,
독일 튀빙엔 대학의 신약성경과 초기 유대교 교수
첫번째 칼럼 글에서 제안한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하는 것의 필요성과 중대성의 네번째 그리고 마지막 측면은 다음과 같다: “어떻게/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현재 정경화 된) 신약성경의 저술들을 하나님의 권위를 가진 저술들로 경험하고 인정하게 했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신약성경의 정경화를 시작했던 선구자들에 주후 2세기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속했다. 독일 튀빙엔 대학의 신약성경과 초기 유대교 교수였고, 저명한 복음주의 신약성경 학자였던 마르틴 헹일 박사에 따르면, “주후 180년경 (초기 그리스도인 지도자인) 이레네우스에 의해 (신약성경) 정경의 결정적인 기준들이 이미 세워졌다, 이때쯤 (그 기준들에 대한) 합의가 갈리아 지방(현재 스페인)부터, 로마(현재 이탈리아)와 카르타고(현재 튀니지)를 거쳐, 알렉산드리아(현재 아프리카)에 까지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2]
예를 들어, 주후 2세기 말에 프랑스 리옹에서 교회의 지도자로 시무했던 이레네우스는 4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를 요한계시록 4장에 언급된 4생물로 비유하며, 조화를 이루는 하나의 복음서로 이해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레네우스, 이단논박, 3.11.8). 비슷한 시기인 주후 170년 즈음에 로마-수리아 (현 시리아 지역) 출신 그리스도인이었던 타티안은 로마에 살았다. 그는 4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를 하나의 책 같이 엮었으며, 이들이 함께 읽혀지고 이해되어져야 할 하나님의 말씀으로 소개했다. 이레네우스와 타티안이 살았던 지역은 약 1000 km정도 떨어져 있었지만, 그들은 동일하게 4복음서가 하나님의 영감으로 쓰여진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인정했다.
이레네우스는 소아시아 출신이기에, 이레네우스와 타티안의 공통분모가 있다면, 그것은 그들이 4복음서의 저자들처럼 로마 사회와 문화속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이레네우스와 타티안은, (성령님의 인도아래) 4복음서의 저자들이 사용한 주후 1세기의 다양한 문화적-사회적-경제적-종교적-정치적 환경들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헹엘 박사가 언급한 갈리아 지방(현재 스페인), 로마(현재 이탈리아), 카르타고(현재 튀니지), 그리고 알렉산드리아(현재 아프리카) 지역들은 로마제국에 속했다. 따라서, 이레네우스와 타티안 뿐만 아니라 그 지역에 살았던 신약성경 정경화의 선구자들의 대다수가 로마사회와 문화속에서 태어나 살았던 그리스도인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신약성경의 저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문화적-사회적-경제적-종교적-정치적 환경들을 공유했기에, 신약성경을 더 정교하고 통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리라 추정해볼수 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신약성경이 하나님께서 영감하신 저술들이며, “기독교의 정체성과 방향을 제시하는 시금석으로서 지속적으로 가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선명히 확인했다고 합리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3]
주장하건데, 지금까지 살펴본 것들을 고려해볼 때,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신약성경 저자들의 세계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하면, 하나님께서 어떻게 신약성경 저자들의 역사적 (정치-경제-문화-사회-종교), 집필적 (문학적), 사고적(신학적) 측면들을 사용하셔서 당신의 권위 있는 말씀을 기록하게 하셨는지 더 깊이 그리고 풍성히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묵상은, 현대 그리스도인들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 관심을 가진 비그리스도인들에게도 신약성경의 정경성을 설명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제 다음 칼럼 글부터, 본격적으로 신약성경의 구절(들)을 신약성경의 세계속에서 묵상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칼럼의 첫번째 글에 제시한 내용에 기반한 필자의 아래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들어주시길 간구하며 이 칼럼 글을 마무리한다.
하나님 아버지, 이 칼럼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아버지께서 신약성경 제작의 재료로 사용하신 신약성경의 시대와 저자들의 역사적(정치-경제-문화-사회-종교), 집필적(문학적), 사고적(신학적) 면들을 통해 드러내시는 당신의 자기계시와 뜻을 더 풍성히 경험하고 세상속에 더 널리 알릴 수 있게 도와 주소서.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1] 필자 번역; Martin Hengel, “Tasks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6 (1996): 73.
[2] 위의 학술지.
[3] 데이비드 A. 드실바, 신약개론, ed. 박상민, and 진규선, trans. 김경식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46.
추천도서:
- 마이클 F. 버드, N. T. 라이트, 신약성경과 그 세계: 첫 그리스도인들의 역사, 그들이 남긴 문헌, 그리고 그들의 신학, 박규태 역, 서울: 비야토르, 2024.
- F. F. 브루스, 신약사, 나용화 역, 서울: CLC [기독교문서선교회], 2010.
- 마르틴 헹엘, 유대교와 헬레니즘 1–3권, 박정수 역, 파주시: 나남출판, 2012.
- 톰 라이트, 신약성서와 하나님의 백성, 박문재 역, 서울: CH북스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3.
- 데이비드 A. 드실바, 문화의 키워드로 신약성경 읽기: 명예, 후원, 친족, 정결 개념 연구, 김세현 역, 서울:새물결플러스, 2019.
- 존 월튼, 빅터 매튜스, 마크 샤발라스, 크레이그 키너, IVP 성경배경주석:신구약합본, 정옥배 역 (신약 파트를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서울: IVP, 2010.
- 헬무트 쾨스터, 신약 성서 배경 연구, 이억부 역, 서울: 은성사, 2009.
- 앨버드 벨, 신약 시대의 사회와 문화, 오광만 역, 개정판. 서울: 생명의말씀사, 2020.
- 박양규, 중간사 수업: 유대 문헌으로 보는 신구약 중간사의 세계, 서울: 샘솟는기쁨, 2024.
- 마티아스 헨제, 마인드 더 갭: 제2성전기 유대 문헌으로 예수 이해하기, 신철호 역, 마온하우스, 2023.
- NIV Cultural Backgrounds Study Bible.
원처치 저자 신찬기 교수

신찬기 교수는 미국 텍사스 침례대학에서 인문학를 전공하고, 고전어(헬라어, 히브리어, 라틴어)를 부전공 했다. 미국 달라스 신학교에서 신학석사(Th.M)를 졸업했으며 신약성서학을 전공했다. 현재 오타고 대학에서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에서 사용하는 아버지 은유에 관한 박사(Ph.D) 연구논문을 집필중이며, 뉴질랜드 알파크루시스 컬리지 한국부 학장으로, 미국 미드웨스턴 침례 신학대학원과 스펄전 컬리지에서 신약성서학 객원교수로, 오타고 대학에서 신약성서 헬라어 조교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칼럼 모음
뉴질랜드 칼럼니스트들의 칼럼 모음
- 가정교회에서 길을 찾다(10)
- 교회교육 이야기(3)
- 김성렬의 교사강좌(24)
- 김용환 자서전(31)
- TheArk 이야기(11)
- 낮은마음 이야기(3)
- 리커넥트_다시,연결(8)
- 말씀묵상의 삶(8)
- 배태현 목회칼럼(18)
- 사진과 함께하는 일상묵상(45)
- 하나님 백성의 선교(14)
- 성경 석의하기(11)
- 신다니엘 목회칼럼(27)
- 아프리카 이야기(4)
- 양철권 목회적 묵상(92)
- 이근택의 선교보고서(23)
- 이른비와 늦은비의 기적(52)
- 이홍규의 Faith Talk(19)
- 주기도문과 성도의 삶(9)
- 절제회 칼럼(9)
- 정신건강 이야기(10)
- 월드비전 구호현장 이야기(10)
- 차세대 예배자(11)
- 캄보디아 이야기(1)
- 하나님이 살아계시는 객관적 증거(11)
- 키위교회 이야기(11)
- 대학에서 세계로(6)
- World Christianity in NZ Churches(5)
- 교회와 신앙(9)
- 성경과 통일(10)
- 신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11)
- 신.문.만(10)
- 일기쓰기(10)
-
[성경과 통일] 짙은 어두움 속 빛을 보다
출처: 경북매일 성경과 통일(6) 짙은 어두움 속 빛을 보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도 빛은 있다. 그것이 달빛이든 별빛이든 말이다." 들어가는 말 우-러 전쟁 2년 5개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무력 충돌로 인한 중동전쟁 위협, 깊어지는 미-중 갈등, 대만의 ...Date2024.08.02 Category성경과 통일 -
[교회와 신앙]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
교회와 신앙(6)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 "우리는 거룩을 일생의 목표로 삼아야 하겠습니다" 예수 믿는 모든 성도들은 누구나 성경 말씀 중에 특별히 의미를 두고 중시하는 말씀이 있을 것입니다. 저에게 소중하고 귀한 말씀 두 가지를 꼽으라고 한다면 첫 번째...Date2024.07.29 Category교회와 신앙 -
주후 1세기 로마 식민도시 빌립보에서 묵상하는 빌립보서 (2부)
주후 1세기 로마식민지 폼페이에서 발굴된 벽화, "목수들의 행진." 현재 이탈리아 나폴리 고고학 박물관 소장. (출처: https://pompeiiinpictures.com/pompeiiinpictures/R6/6%2007%2008.htm)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주후 1세기 로마 식민...Date2024.07.21 Category신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
[일기쓰기] 도전! 건강
(사진설명: 감옥이 사라지고 마을 도서관이 들어섰다 CC BY-SA 2.0 Wikipedia) 일기쓰기(6) 도전! 건강 "건강하게 지내고 있어요. 어머니도 건강하시지요." 존 웨슬리 매일 매 시간 매 순간, 일기를 쓴다. 쓸 때마다, 부끄럽다. 원어민처럼 영어를 사용못해서...Date2024.07.17 Category일기쓰기 -
[신.문.만] 소설 <속빙점>로 그리스도인의 은총론 이해하기(6)
©케이티이미지뱅크 신.문.만 : 신학과 문학과의 만남(6) “소설 <속빙점>로 그리스도인의 은총론 이해하기" "얼어버린 사람의 마음은 어떻게 녹을까요? 용서가 사람의 힘으로 가능할까요?" 지난 칼럼에 이어 같은 저자의 후속작인 <속빙점>이라는 ...Date2024.07.08 Category신.문.만 -
[성경과 통일] 통일, 과연 얼마나 이득인가?
(출처: 온라인 도서) 성경과 통일 (5) 통일, 과연 얼마나 이득인가? "통일이 우리에게 줄 장미빛 미래는 외면한 채" 매스컴에서 젊은 세대들은 통일을 원치 않는다는 식의 보도를 보거나 들을 때마다 고개가 자연스레 갸웃 해진다. 왜냐하면, 백 번 생각하고 ...Date2024.06.27 Category성경과 통일 -
[교회와 신앙]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아름다운 동행
교회와 신앙(5)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아름다운 동행 "하나님께서는 날마다 우리의 삶 가운데 성실하게 만나 주시고 우리로 하여금 함께 동행하시기를 원하신다 " "이것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주의 성실이 날마다 크도소이다”(예레미야 애가 3:23) 우리...Date2024.06.24 Category교회와 신앙 -
[일기쓰기] 도전! 인공지능
사진설명: 1990년대에 만든 로봇 키즈멧(Kismet);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CC BY-SA 3.0 fr 일기쓰기(5) 도전! 인공지능 "놀랍도록 똑똑하고 충격적이게 어리석은 인공지능" - 최예진 "인간의 직업이 사라지고 있다" - 이정환 인공지능의 한계, ...Date2024.06.17 Category일기쓰기 -
주후 1세기 로마 식민도시 빌립보에서 묵상하는 빌립보서 (1부)
로마 빌립보의 포럼을 재건한 조감도 (출처: Wikimedia Commons)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주후 1세기 로마 식민도시 빌립보에서 묵상하는 빌립보서 (1부) "이들은(바울과 실라는) '우리가 로마 사람들이 때문에' 받아들이거나 실천...Date2024.06.16 Category신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
[신.문.만] 소설 <빙점>으로 그리스도인의 죄론 이해하기(5)
©향이네 (khan.co.kr) 신.문.만 : 신학과 문학과의 만남(5) "소설 <빙점>으로 그리스도인의 죄론 이해하기" "나의 마음은 언제 차가워지나요? 얼어버린 마음은 무엇을 낳나요?" 일본의 저명한 소설가 미우라 아야코는 결핵으로 긴 투병 생활을 보내며 그...Date2024.06.02 Category신.문.만 -
[성경과 통일] 평화와 통일에 있어서 재외동포의 3중 역할
출처: 청년투데이 성경과 통일 (4) 평화와 통일에 있어서 재외동포의 3 중 역할 " 재외동포의 글로벌 역량을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한반도 통일은 세계사적으로 20세기 냉전의 역사를 종식시키는 시급한 일이다. 동북아 평화는 조선과 한국, 그리...Date2024.05.31 Category성경과 통일 -
[교회와 신앙] 선교와 뉴질랜드 시니어 선교회; 아름다운 여정을 향하여
교회와 신앙(4) 선교와 뉴질랜드 시니어 선교회; 아름다운 여정을 향하여 "하나님은 "이 시대에 시니어들을 통하여 주님의 지상 명령인 땅끝까지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 나라를 완성한다"는 계획이신 것 같습니다." 현대 과학의 급속한 발달과 의료 기술의 발...Date2024.05.27 Category교회와 신앙 -
왜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해야 하는가? (4부)
주후 1-3세기 로마제국의 무역 네트웨크 (출처: World History Encyclopedia)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왜 신약성경의 세계 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해야 하는가? (4부) "주후 180년경 (초기 그리스도인 지도자인) 이레네우스에 의해 (신약성...Date2024.05.18 Category신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
[일기쓰기] 도전 암호는 어떻게 (2/2)
뉴질랜드 가을에 구르는 낙엽은 나무가 만든 나무의 언어일까? 저마다 다른 색깔과 크기와 모양에 한 해의 삶을 담았다. 일기쓰기(4) 도전! 암호는 어떻게 (2/2) "방법쟁이(Methodist)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오늘 ...Date2024.05.13 Category일기쓰기 -
[신.문.만] “소설 <두 늙은 여자>로 그리스도인의 공동체 이해하기(4)
©huffingtonpost 신.문.만 : 신학과 문학과의 만남(4) "소설 <두 늙은 여자>로 그리스도인의 공동체 이해하기" "나에게 공동체는 어떤 의미인가요? 온전한 공동체는 어떻게 세워질까요?" 오늘 소개할 책은 알래스카 인디언의 생존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Date2024.05.05 Category신.문.만 -
[교회와 신앙] 저출산 인구 절벽시대에 교회의 역할
교회와 신앙 (3) 저출산 인구 절벽시대에 교회의 역할 ""하나님은 인간에게 생육하고 번성하고 땅에 충만하라"고 명령하셨다."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창1:28 대한민국 인구가 2020년 정점(5,184만 명)을 지나 2021년(5,174만 명) 감소했다고 통계...Date2024.04.26 Category교회와 신앙 -
[성경과 통일] 명칭 사용에서 본 우리 민족의 우선 과제: 통일이냐 평화냐
(출처: 위키백과) 성경과 통일 (3) 명칭 사용에서 본 우리 민족의 우선 과제 "통일 대신 평화를 강조하고 남북 통일을 외치기 전에 한-조 평화를 이루는 것이 우선적인 민족 과제라 생각된다." 1948년 이후, 또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에...Date2024.04.22 Category성경과 통일 -
왜 신약성경의 세계속에서 신약성경을 묵상해야 하는가? (3부)
주후 50-79년 사이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로마 폼페이에서 발견된 제빵사 테렌티우스 네오와 그의 아내의 벽화. 테렌티우스(남편)는 두루마리를 들고 있고, 그의 아내는 펜과 같은 기능을 했을것으로 추정할수 있는 스타일러스와 계산 하는 판을 들고 ...Date2024.04.14 Category신약의 세계 속에서 묵상하는 신약성경 -
[일기쓰기] 도전! 암호는 어떻게♡(1/2)
일기쓰기(3) 도전! 암호는 어떻게♡(1/2) "생각, 말, 행동, 잘한 것, 못한 것을 모두 일기에 적어보려고 해, 그런데, 암호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풀어 쓴 찰스 웨슬리의 편지에서 1729년 1월 22일)" 성령의 열매를 맺는 영성 수업과 영성 훈련, 그리고 ...Date2024.04.08 Category일기쓰기 -
[교회와 신앙] 녹슨 못의 영향력
교회와 신앙 (2) 녹슨 못의 영향력 "교회 공동체가 세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부정한 상태도 아니고 정결한 상태도 아닌 거룩한 상태여야 할 것이다." 얼마 전, 자주 사용하는 못, 나사못, 볼트, 너트등이 들어 있는 플라스틱 못 통을 정리하면서 흥미로...Date2024.03.31 Category교회와 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