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은 잉태 순간부터 가치”… 美 교계, 대법원 판결 환영
미국 연방대법원 ©픽사베이
미국에서 임신 6개월 이전의 낙태를 합법화했던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결을 연방대법원이 지난 24일(현지시각) 뒤집은 가운데, 기독교계 지도자들이 이에 대해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다.
전미복음주의협의회(NAE) 회장 월터 김 목사는 “생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며, 인간의 모든 생명은 잉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헤아릴 수 없는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로 대 웨이드’ 판결로, 가장 취약한 단계의 생명을 보호하는 정책을 고려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 심각하게 제한됐다”며 “이번 대법원 판결이 낙태 정책에 대한 모든 질문을 해결하지는 못하지만, 생명 보호 문제를 고려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는 제거한다”고 했다.
김 목사는 “취약한 여성과 어린이를 지원하고 모든 생명을 존중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했다.
빌리그래함전도협회(BEGA) 회장인 프랭클린 그래함 목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환영 성명을 냈다. 그는 “급진 좌파는 ‘분노의 밤’을 요구하고 있다. 임신 센터는 이미 파괴되고 공격을 받으며, 미국 대법원 판사들은 위협과 협박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49년 전 통과된 ‘로 대 웨이드’ 판결로 이 나라에서 6천 3백만 명이 넘는 무고한 아이들이 사망했다. 슬프게도, 이 판결은 낙태를 끝내는 것이 아니다. (낙태) 전쟁을 각 주로 되돌려 놓을 것”이라고 했다.
또 “이는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판결 중 하나다. 모든 주가 태아를 보호하고 미국이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가장 취약한 이들의 권리를 인정할 수 있기를 기도했다”라고 밝혔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조카이자 생명수호운동가인 알베다 킹 여사는 크리스천포스트(CP)에 보낸 이메일 성명에서 “‘우리 국민’은 지난 49년 동안, 선출되지 않은 판사들이 낙태에 대한 국가적 권리를 제정하도록 허용한 대법원의 잘못되고 위헌적인 판결을 견뎌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대법원은 그 판결을 정당하게 뒤집고, 낙태 규제 권한을 주 차원에서 선출된 관리들에게 되돌려 줬다. 이 날을 간절히 바라고 기도했다. 자궁에서 무덤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위해 계속 싸울 것”이라고 했다.
킹 여사는 낙태를 ‘혐오 범죄’라고 명명하고, “낙태는 우리 중 가장 작은 이들의 시민권에 대한 부당한 행위다. 또 낙태는 조직적인 인종차별이다. 뱃속에 있는 아기는 피부색과 상관없이 법적으로 ‘선택’이 아닌 ‘보호’받아야 하는 아이”라고 했다.
사우스웨스턴신학교 아담 W. 그린웨이 총장은 CP에 보낸 성명을 통해 “대법원 판결은 기념비적인 승리”라고 밝혔다. 그린웨이 총장은 “이제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는 정의로운 법을 제정하기 위해 이 기회를 잡아야 한다. 모든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 말뿐 아니라 행동으로 자신의 헌신을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입법자들에게 태아를 보호해 달라고 촉구해야 하며, 여성의 삶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다른 많은 신실한 기독교인들과 함께 우리 사회가 모든 인간의 생명을 진정으로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에, 낙태가 생각할 수 없는 선택이 되는 날이 오기를 기도한다”라고 전했다.
전미히스패닉기독교지도자회의 회장인 사무엘 로드리게스 목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 소식을 축하하며 “하나님을 찬양하라! 어린 양의 의제가 오늘 완료되었고,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고 했다.
그는 “이제 우리는 자궁에서 무덤까지 생명을 보장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모든 연령대, 인종, 종교의 사람들이 교회에서 모든 면에서 자비로운 보살핌을 받을 수 있기를 기도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대법원 판결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진보 교계 지도자이자 ‘가난한 이들의 캠페인’(Poor People’s Campaign) 공동의장인 윌리엄 바버 2세 목사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 판결은 여성의 권리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하며 규탄했다.
성직자이기도 한 조지아주 민주당 하원의원인 라파엘 워녹 목사는 “‘로 대 웨이드’를 뒤집기로 한 대법원 판결은 여성이 스스로 의료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핵심적인 보호를 종료하고, 기본권을 인정하고 보호하려는 미국적 이상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성의 결정권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여성이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싸움에서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관련 기사:
'로 대 웨이드' 무엇이길래? 각계의 열띤 반응 '승리 vs 암울한 날'
美 낙태권 폐지에 아던 총리 '믿을 수 없을 만큼 당혹스럽다', 국민당 의원은 '사과'
美 49년만에 낙태 허용 판결 폐기… 교회·기독교인 어떻게 대응
출처: 크리스천투데이
국제/한국 뉴스
국제 및 한국의 기독교 뉴스를 전합니다.
-
미국장로교, 총회서 '이스라엘은 인종차별 국가' 선언
PCUSA 제219회 총회 참석자들이 예배를 드리고 있다. ©페이스북 미국장로교(PCUSA) 총회가 지난 6월 28일(현지시각) 이스라엘을 인종차별(아파르트헤이트) 국가로 선언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수정안 ‘INT-02’로 알려진 이 결의안은 켄터키주 루이빌에...Date2022.07.01 Category국제 -
낙태 고발 영화 ‘언플랜드’, 한국 교회들에서 릴레이 상영
©크리스천투데이 생명의 소중함을 알리고 낙태의 비윤리성을 고발한 영화 <언플랜드(Unplanned)>가 한국의 주요 중대형 교회를 중심으로 1차 릴레이 상영되고 있다. 지난 19일(주일)에는 대전 새로남교회(오정호 목사)에서 성도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Date2022.06.30 Category한국 -
호주 기독교인 인구, 처음으로 50% 이하 기록, '뉴질랜드보다는...'
©크리스천투데이 호주에서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밝힌 사람의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ABC방송 등은 호주 통계청(ABS)이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 조사 결과를 최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호주 인구 2,540만 명 가운데 ...Date2022.06.30 Category호주 -
“생명은 잉태 순간부터 가치”… 美 교계, 대법원 판결 환영
미국 연방대법원 ©픽사베이 미국에서 임신 6개월 이전의 낙태를 합법화했던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결을 연방대법원이 지난 24일(현지시각) 뒤집은 가운데, 기독교계 지도자들이 이에 대해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다. 전미복음주의협의회(NAE) 회장...Date2022.06.29 Category국제 -
英 생명수호운동가들 “기념비적인 날”… 美 대법 판결 환영
©Unsplash/Maria Oswalt 영국의 기독교인들을 비롯한 친생명 운동가들은 미 대법원의 ‘낙태 합법화 판결 폐기’를 환영했다. ‘크리스천 컨선’(Chrisitian Concern)의 캐논 J. 존(Canon J. John)은 이에 대해 “저는 기적을 믿으며, 미 대법원의 이번 판결을...Date2022.06.29 Category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