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찬양교회 뉴질랜드 빅토리처치

국제

“은밀한 바가지에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해도 너무한 관광세 폭탄, 얼마길래

by OneChurch- posted Feb 1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news-p.v1.20250210.5b5c3c01e1d14f7db0c4eadc7101b1aa_P1.jpg

25곳이 넘는 지자체에서 관광세 도입을 준비중인 일본 ©픽사베이

 

연초부터 관광세 논란이 뜨겁다. 세계 곳곳의 명품 휴양지들이 관광세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1. 넘버원 관광세 뉴질랜드

부동의 넘버원이다. 뉴질랜드. 남섬 카왈라우 번지 점프가 전세계 원조 번지로 유명한 곳이다. 그렇게 좋던 뉴질랜드가 관광세 카드를 꺼내 든 건 2019년부터다. 작년 10월부터 살벌한 수준까지 올랐다. 국제 방문객 보호 및 관광 세금(IVL)명목으로 걷는 돈은 100 뉴질랜드 달러. 우리돈으로 8만3000원 선이다. 원래 35뉴질랜드 달러, 우리 돈 약 2만90000에서 3배 가까이 뛴 셈이다.

 

아직 놀라긴 이르다. 뉴질랜드 입국 때는 또 하나의 허들이 있다. 역시나 작년 10월부터다. 비자 비용을 받는다. 이게 중국 뺨친다. 관광 비자 발급 비용을 131뉴질랜드달러(약 10만9000원)에서 211뉴질랜드달러(약 17만5000원)로 인상해 부과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간접 비용이 두 개를 합치면 25만원이 넘는다.

 

다만 비자 발급 비용은 나라별로 다르다. 한국을 포함해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일본, 멕시코 등 60개 국가 국민들은 관광 목적으로 뉴질랜드에 3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는 비자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비자 발급 대신 전자여행허가(NZeTA)를 소지하면 IVL만 납부하면 된다.

 

201806150757039583_.jpg

©게티이미지뱅크 

 

2. 관광세 폭탄 준비하는 일본

일본, 이거 장난 아니다. 금액이 문제가 아니다. 전방위 관광세를 매기는 분위기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2023년에 숙박세를 징수하는 일본 지자체는 9곳이었지만, 올해는 지방의회에서 숙박세 도입을 결정한 곳을 포함해 25곳에 달한다.

 

숙박세는 지자체가 조례를 통해 징수한다. 총무상은 주민에 대한 부담이 현저히 늘지 않으면 대부분 동의한다. 그러니, 사실상 시행인 셈이다.

부담 수준은 어떨까. 통상 숙박세 형태가 일반적이다. 현재는 지자체 별로 상이하긴 하지만 1박당 통상 200엔~1000엔 수준. 우리돈으로 많게는 1만원 선이다. 뭐, 괜찮다. 이 수준이면 갈 만하다.

 

헌데, 좀 심한 곳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 국민들이 많이 찾는 소도시 교토다. 에도 시대의 소도시 분위기 그대로 간직한 핫플레이스여서 우리 국민들도 즐겨 찾는다. 이곳 좀 심하다. 숙박요금이 1박에 10만엔(94만원) 이상일 경우 1만엔(9만4000원)까지 매긴다는 구상이다. 글자 그대로 하룻밤 10만원을 더 받겠다는 배짱이다. 

 

news-p.v1.20250210.1ee8e00d557640258cad7692549f2723_P1.jpg

발리 ©픽사베이

 

3. 빨리, 인상하자...발리

관광세가 슬슬 살벌해질 조짐을 보이는 곳, 발리도 빼놓을 수 없다.

발리는 나름 이유가 있다. 쓰레기 처리 문제다. 코로나 직후 관광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쓰레기섬으로 전락할 위기다.

 

매년 발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160만 톤. 이 중 30만 톤이 플라스틱 쓰레기다. 관광객이 만드는 쓰레기 양은 주민이 배출하는 것의 3배 수준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이 쓰레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채 인근 바다로 흘러나간다는 점이다. 이렇게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량은 약 3만3000 톤 수준.

 

지난 1월이다. 발리 남부 케동가난 해변에 거센 파도와 함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밀려 들어오면서 해변이 쓰레기로 뒤덮여 화제를 모은 적이 있다. 해변 청소를 위해 현지인과 호텔 직원, 관광객 등 600여명이 투입됐는데, 일주일 동안 수거된 쓰레기 양은 25톤에 달했다.

 

그렇다면 관광세 부담은?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2월부터 외국인 관광객에게 1인당 15만 루피아(약 1만3260원)의 관광세를 물리고 있다. 당연히 인상안도 구체적으로 추진중. 10% 인상안을 비중있게 검토하고 있다. 발리 여행 패턴은 보통 4박5일 일정이다. 1명당 6만원 이상 부담 늘 것으로 보인다.

 

news-p.v1.20250210.ecd764f64f6248809b02bad302ba2821_P1.jpg

하와이 해변가 ©픽사베이

 

4. 니가 가라...하와이

관광세 때문에 영화 대사처럼 ‘니가 가라’를 외쳐야 할 것 같다. 요즘은 달러 환율까지 말썽이다. 환율에 관광세에, 그야말로 체감 부담은 두배다. 현재는 1인당 ‘25달러(약 3만40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다.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 막기 위해, 그리고 하와이 천혜의 자연을 지키자는 차원이다.

 

이를 통해 하와이는 연간 6800만 달러(약 905억 원) 정도를 세이브한다.

요즘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게 관광 허가증이다. 50달러(약 6만6000원)의 관광 허가증을 만들어 관광세를 걷는 방안이다. 이게 논의가 중단 됐는데 마우이 산불 대란이 한번 덮친 뒤, 관광세 재검토안이 급부상하고 있다.

 

news-p.v1.20250210.fe0d7b4d8ed94e96bac8d065209413b2_P1.jpg

오버투어리즘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베네치아 ©픽사베이

 

5. 베네치아도 슬슬 인상 움직임

이탈리아도 만만치 않는 관광세 카드를 꺼내들 조짐이다. 1박당 최대 25유로(3만원대 후반)까지 인상을 준비중이다.

이미 이탈리아는 오버투어리즘에 몸살을 앓고 있다. 작년 4월부터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그래도 전세계에서 몰려든다. 현지 관광객 폭증 막기 위해 당일치기 관광객에 한해 입장료 5유로(약7000원)씩을 부과한다.

 

심지어 단체 여행 인원수를 한 그룹당 25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특히 인기 여행지는 최대 10유로(1만5000원선)까지 인상해 놓고 있다. ‘물의 도시’ 베네치아는 손을 놓을 정도다. 수용 규모를 넘어서는 관광객들 몰리면서 치솟는 집값과 생활 물가 때문에 주민들 5만여명이 짐을 싸서 떠났다는 보도가 나온다.

 

올해는 당연히 인상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관광세 상한선을 도시와 호텔 등급에 따라 적게는 1박당 5유로(약 7400원), 많게는 25유로(약 3만 7000원)까지 올린다는 구상이다. 보통 투어 일정을 7박9일까지 잡는데, 합쳐서 1인당 35만원 정도의 부담이면 꽤 큰 체감이다.

 

6. 안받는 나라가 없다

그외, 국대급 관광지들도 가세하고 있다. 모차르트의 고향, 잘츠부르크와 오스트리아 빈 등은 숙박비에 약 3.2% 추가 숙박비를 받는 형태로, 간접 부과를 한다. 작년 말 코리아 언박싱 축제가 열렸던 벨기에 브뤼셀도 마찬가지. 호텔의 규모와 등급에 따라 관광세가 다른데 1박에 7.50유로(약 2만 원) 수준, 관광세를 매긴다.

 

아름다운 항구도시 두브로브니크와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으로 유명한 크로아티아도 예외는 아니다. 계절과 장소에 따라 관광세가 다른데 1박에 1.33유로(약 2000원) 정도다.

 

독일은 문화세와 숙박세를 부과한다.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 베를린 등에서 ‘문화세’와 ‘숙박세’를 받고 있는데, 호텔비의 약 5%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스위스도 동참하고 있다. 통상 1박에 2.50 스위스 프랑(약 3800원) 정도다.

 

7. 대한민국은 받을까

제주도가 입도세를 추진하다 접은 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는 관광세에 관심조차 없다. 오히려 관광객 유치 뿐 아니라 나라 관광살림에 실이 되는 출국에도 적극적이다.

 

우리 국민들이 해외에 출국할 때 내는 출국납부금까지 확 줄여 놓았으니, 말 다했다. 출국납부금은 해외에 나갈 때 부과되는 금액이다. 1만 1000원에서 7000원으로 내리고 면제 대상도 현재 2세 미만에서 12세 미만으로 확대하면서, 출국을 권장(?)하고 있다.

 

 

문수아 기자 onechurchnz@gmail.com

 

 

출처: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ociety/11237057


국제/한국 뉴스

국제 및 한국의 기독교 뉴스를 전합니다.

  1. 한국 교육부, 교직 인·적성 검사 강화 … '고위험군 교사' 임용단계서 걸러낸다

    ⓒ뉴데일리DB   '대전 초등생 사망 사건' 대응 방향 공개 … 신규채용 시 교직적성 심층면접   앞으로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를 받고 적격 판정을 2회 이상 받아야 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
    Date2025.02.20 Category한국
    Read More
  2. "쇼츠 보다 밤새고, 끊지 못하겠어요..."

    무분별한 SNS 콘텐츠와 중독성 강한 숏폼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려는 조치가 세계 각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중고생 34% "SNS, 일상생활 지장" 인스타 '10대 계정' 도입" 무조건 규제보다 자기조절력 키워줘야"   전 세계적으로 소셜미디어(SNS)...
    Date2025.02.19 Category한국
    Read More
  3. "메달, 하나님 힘과 능력으로 가능했다"

    김소희 알파인스키 선수 ©한국올림픽선교회 제공     한국올림픽선교회 파송 스포츠선교단, 현장에서 선수단 위한 영적·정서적 지원 펼쳐 기독선수 4인 은메달·동메달 쾌거   지난 14일 막을 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선수단이 종합 2위 수...
    Date2025.02.18 Category한국
    Read More
  4. ‘Power posing’으로 자존감 키우기

    ©픽사베이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여러 사람이 모여 두 발을 벌리고 발을 구르며 허벅지와 가슴을 박자에 맞춰 치며 혀를 내미는 동작과 위협적인 표정으로 우렁차게 구호를 외치며 하카(haka)를 한다. 많은 사람은 하카를 춤으로 알고 있으나, 하카는 전통 ...
    Date2025.02.18 Category한국
    Read More
  5. “은밀한 바가지에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해도 너무한 관광세 폭탄, 얼마길래

    25곳이 넘는 지자체에서 관광세 도입을 준비중인 일본 ©픽사베이   연초부터 관광세 논란이 뜨겁다. 세계 곳곳의 명품 휴양지들이 관광세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1. 넘버원 관광세 뉴질랜드 부동의 넘버원이다. 뉴질랜드. 남섬 카왈라우 번지 점프가 전세계...
    Date2025.02.18 Category국제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486 Next
/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