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찬양교회 뉴질랜드 빅토리처치

국제

캐나다 병원, 정신 상담 요청한 여성에 ‘조력 자살(안락사) 제안’ 파문

by OneChurch posted Aug 30,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Untitled-4.jpg

©픽사베이

 

캐나다의 한 병원 의료진이 정신과적 도움을 요청한 여성에게 ‘의료 조력 사망’(Medical Assistance in Dying, MAID 또는 안락사)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여성은 “스스로가 무가치하게 느껴졌다”고 토로했다.

 

캐나다 여성인 카트린 멘틀러(Kathrin Mentler·37)는 지난 6월 밴쿠버 종합병원의 한 센터에서 자살 충동과 관련된 상담을 받았다. 평가를 진행하는 동안 의료진은 그녀에게 “이용이 가능한 병상이 없고, 외래 환자로 진료를 받으려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크리스천 인스티튜트’(The Christian Institute)에 따르면, 한 임상의는 멘틀러에게 MAID(조력 사망, 안락사)를 고려한 적이 있는지 물었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다른 환자의 조력 사망 후 ‘안도감’에 대해 나눴다.

 

멘틀러는 크리스천 인스티튜트와 인터뷰에서 “내 인생이 무가치하고, MAID를 선택하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만성적인 자살 충동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삶의 기쁨을 찾는 데에는 방해가 되지 않았다”며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2024년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할 자격이 없기 때문에, 병원이 MAID를 제안했다는 사실이 이상했다”고 했다.

 

밴쿠버 종합병원은 CP의 논평 요청에는 응하지 않았으나, 크리스천 인스티튜트에 “그녀가 겪고 있는 모든 고통에 대해 사과했으며, MAID 제안은 환자가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절차의 문제’였다”고 해명했다.

 

캐나다는 2016년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했다. 당시 의회는 그 자격을 ‘지속적이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포함한 ‘심각하고 치료할 수 없는 질병 또는 장애’를 앓고 있는 18세 이상 시민 또는 영주권자로 제한했다.

 

2022년 캐나다 의회는 해당 법안에 ‘위협적이지 않은 신체 장애’를 포함하도록 확대했으며, 이후 3월 17일 MAID 자격을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이를 일시적으로 연기하겠다고 밝혔고, 오는 2024년 3월 17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크레이튼대학교 의과대학의 인문학 의학 교수인 찰리 캐모시(Charlie Camosy) 박사는 미국 가톨릭대학교 인간생태학 연구소의 패널 토론에 출연해 “조력 자살은 ‘미끄러운 경사’”라고 경고했다. 즉 의사가 조력 자살을 받아들이면 종종 신체적 고통, 그리고 결국 정신 건강상의 고통에 대한 안락사도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캐모시 박사는 “일단 허용하면 원래의 의도대로 이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의학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이를 의도한 특정 인구에게만 제한하는 것은 부당해 보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는 건강한 신체를 가졌으면서도 의료 조력 자살을 요구한 캐나다의 타일러 던롭(Tyler Dunlop)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그는 자신이 노숙자이고 살 이유가 없다고 느꼈기 때문에 조력 자살을 요청했다. 그는 자신이 이러한 결정에 대해 진지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오릴리아 군인기념병원에서 제공하는 음식, 물, 쉼터 등을 거부했다.

 

던롭은 당시 오릴리아 매터스(Orillia Matters)와의 인터뷰에서 “난 더이상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조력 자살을 선택했다. 난 재활 치료를 받았고, 더 나아지기 위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중 일부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했다.

 

캐나다 MAID에 관한 2021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보고된 MAID로 인한 사망은 10,064건으로, 이는 캐나다 전체 사망자의 3.3%를 차지했다. 2016년 캐나다 의회가 조력 자살을 합법화한 이후 MAID로 인해 사망한 사람은 31,664명이었다.

 

 

뉴질랜드 안락사 신청자, 자살 충동 위험 더 높아 '안락사 사망자 수와 통계'

 

뉴질랜드, 작년 말 안락사 가장 크게 늘어... 몇 명이 생을 마감했나?

 

 

카라이티아나 기자 onechurchnz@gmail.com

 

 

출처: 크리스천투데이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56518


국제/한국 뉴스

국제 및 한국의 기독교 뉴스를 전합니다.

  1. 파키스탄 대홍수 1년, 아동 350만 명 영양실조 위기

    파키스탄 홍수 피해 당시 세이브더칠드런에서 제공한 텐트 앞에 앉아있는 아메드 칸(8세, 가명). ⓒ세이브더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은 지난해 사상 최악의 홍수를 겪었던 파키스탄에서 아동의 권리가 위기에 놓였다고 경고했다.   파키스...
    Date2023.09.01 Category국제
    Read More
  2. 브라운 박사, '교회가 죽어간다? NO 복음은 번성하고 있다'

    ©Ismael Paramo/ Unsplash.com   미국의 저명한 기독교 변증가이자 라디오 프로그램 ‘라인오브파이어’ 진행자인 마이클 브라운(Michael Brown) 박사가 ‘진보적 종교는 죽어가지만 복음은 번성하고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최근 영국 크리스천투데이(CT)에 게...
    Date2023.08.31 Category국제
    Read More
  3. 오늘은 남성, 내일은 여성…英 은행, 성 소수자 위한 '양면 사원증' 제공

    영국의 내셔널 웨스트민스터 은행 전경 ©트위터   영국의 한 은행이 성 소수자 직원을 위해 이른바 '양면 사원증' 제도를 도입했다. 이는 성 소수자 직원들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성별을 바꿔 출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지난 7월 4일 영국 일간 텔레그...
    Date2023.08.31 Category국제
    Read More
  4. 배우 최필립, 항암치료받는 아들에게 '주님이 만나주시길 기도'

    KBS 2TV 예능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한 배우 최필립. ⓒKBS 2TV 예능 ‘슈퍼맨이 돌아왔다’   최근 KBS 2TV 예능 ‘슈퍼맨이 돌아왔다’(이하 ‘슈돌’)에서 아들 도운 군이 생후 4개월에 암 진단을 받았던 일을 밝힌 배우 최필립이, 아들 투병 당시 썼던 영성...
    Date2023.08.31 Category한국
    Read More
  5. 캐나다 병원, 정신 상담 요청한 여성에 ‘조력 자살(안락사) 제안’ 파문

    ©픽사베이   캐나다의 한 병원 의료진이 정신과적 도움을 요청한 여성에게 ‘의료 조력 사망’(Medical Assistance in Dying, MAID 또는 안락사)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여성은 “스스로가 무가치하게 느껴졌다”고 토로했다.   캐나다 ...
    Date2023.08.30 Category국제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 465 Next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