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안락사] 고통 덜기 위한 안락사, 장기적 고통 위험 있어
©123rf
뉴질랜드에서 안락사를 신청한 사람은 식약처의 승인이나 규제도 받지 않은 비인가 약물을 투여받게 되며, 이로 인해 장기적인 고통으로 생을 마감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보건부에 따르면 안락사 방법 중 경구용 약물을 선택한 환자들은 규제 기관의 안전 승인 없이 약사가 합성한 약물을 투여받게 된다.
정맥 주사의 경우도 다른 목적의 승인을 받은 약물이 사용된다. 따라서 경구용 약과 마찬가지로 비인가 약물인 셈이다.
안락사법(End of Life Choice Act)은 지난해 국민투표에서 65% 이상 찬성 결과가 나오면서 올해 11월 7일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다.
안락사 시행에 얼마나 준비가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식 정보 법에 따라 RNZ은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보건부 문서를 입수했다.
자료에는 뉴질랜드일반의학회(Royal New Zealand College of GPs) 브라이언 베티 박사(Dr Bryan Betty)가 보건부에 보낸 이메일이 있었는데, 약물 혼합은 끔찍한 외상성 사망을 초래한다는 경고였다.
베티 박사는 사형 집행 약물의 높은 가격과 공급량 부족으로 일반 약 혼합물을 사용해 치명적인 사망 사례를 겪은 미국의 상황을 피하려면 뉴질랜드에 보다 강력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건부에 경고했다.
일부 약물 혼합 사용이 고통스러운 사망을 초래하면서 국제 사회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보건부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사가 약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법(Medicines Act 1981)을 안락사에 적용할 계획이다.
경구약 또는 정맥 주사로 안락사를 신청한 환자에게 승인되지 않은 복합 의약품이 사용된다고 보건부 문서는 명시하고 있다.
네이피어(Napier) GP인 케린 파월(Keryn Powell) 박사는 승인되지도 않은 약물을 사용한다는 것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며 "만약 안락사 시행 중 무언가 잘못되면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 안락사를 시행하는 의사들은 위험한 입장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뉴질랜드 법은 안락사에 어떤 약물이 사용되는지 공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안락사법에 따라 언론사가 안락사에 사용되는 약물 이름을 공개할 경우 $20,000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번역: 원처치
원본 기사: RNZ
뉴질랜드 뉴스
뉴질랜드 기독교 관련 소식들을 전합니다.
-
뉴질랜드 안락사 희망자 1년에 천 명 넘을 듯... 의사는 10%만 참여
©123RF 뉴질랜드에서 11월 초 안락사법이 발효되면 1년에 1,000명의 환자가 안락사를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RNZ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보건부 의료 서비스 책임자 앤드루 코널리(Andrew Connolly)는 1년에 1,100명 정도가 안락사를 신청할 것으로 예...Date2021.04.22 Category안락사 -
뉴질랜드 코로나19 신규 확진 3명... '공항 직원 밀접 접촉자 31명으로 늘어'
©NZ Herald 오늘 뉴질랜드 코로나19(COVID-19) 신규 확진자는 입국자 격리 시설에서 3명 발생했다. 인도에서 입국, 이전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되어 도착 17일째에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4월 20일 요르단에서 입국했으며 도착 당시 증상을 나타내 검사를...Date2021.04.22 Category일반 -
[국민청원 시리즈] 뉴질랜드 사회를 변화시킬 국민청원들 - 1편 신앙의 자유
상임위원회 현장. 청원인이 끝에 앉고 국회의원들은 U자 모양으로 앉는다. ©VNP 최근 국민 청원 3가지가 뉴질랜드 국회 상임위원회에 회부되어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 청원이란, 국민이 어떤 문제에 대한 조치 및 사과를 요구하거나 법률 또는 정부 정...Date2021.04.21 Category교계 -
최신 장례식 트렌드... '배·크림 도넛형' 유머 넘치는 다양한 관 등장
로스 홀 ©ROSS HALL/STUFF 똑같은 긴 갈색 나무 상자에서 벗어나 재치와 유머 넘치는 개성만점 장례용 관을 만드는 회사가 뉴질랜드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Stuff와 연합뉴스에 따르면 '다잉아트(Dying Art)'라는 오클랜드의 관 제작업체는 고객의 주문...Date2021.04.21 Category일반 -
코로나19 신규 확진 2명... '오클랜드 확진자 영국 변이 감염, 허위 전단지는 쓰레기통에'
©RNZ 오늘 코로나19(COVID-19) 상황과 관련해 크리스 힙킨스 코로나19 대응부 장관과 캐롤라인 맥엘니 공중보건국장이 브리핑을 가졌다. 어제 확진된 오클랜드 공항 직원으로 인한 코로나19 감염 확산 위험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바이러스 유전...Date2021.04.21 Category일반 -
[뉴질랜드 안락사] 고통 덜기 위한 안락사, 장기적 고통 위험 있어
©123rf 뉴질랜드에서 안락사를 신청한 사람은 식약처의 승인이나 규제도 받지 않은 비인가 약물을 투여받게 되며, 이로 인해 장기적인 고통으로 생을 마감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보건부에 따르면 안락사 방법 중 경구용 약물을 선택한 환자들은 규...Date2021.04.20 Category안락사 -
이달 말부터 뉴질랜드 비자 소지자의 파트너, 부양 자녀들 입국 허용 확대
©TVNZ 이달 말부터 뉴질랜드 임시 비자 소지자의 파트너 및 부양 자녀들 중 비자를 소지한 사람들의 입국이 허용될 예정이다. 통상적으로 뉴질랜드에 거주하지만 코로나19 국경 봉쇄로 해외에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 해당한다. 단, 뉴질랜드에 ...Date2021.04.20 Category일반 -
보건부, 확진자 방문 장소 공개... 오클랜드 확진자 쇼핑센터 등 다녀가
©GOOGLE MAPS 오늘 확진된 오클랜드 공항 직원이 감염 기간에 방문한 장소들이 공개되었다. 세인트룩스 쇼핑몰, 버닝스 뉴린 지점, 아이스크림 가게 등이 포함되었다. 조금 전 보건부는 지금까지 이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가 16명으로 파악되었다고 밝혔다...Date2021.04.20 Category일반 -
코로나19 오클랜드 공항 직원 양성 판정... '백신 2회 맞고도 확진'
©RNZ 오늘 코로나19(COVID-19) 상황과 관련해 자신다 아던 총리가 긴급 기자회견을 가졌다. 보건부는 오늘 오후 오클랜드 국제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확진되었다고 발표했다. 호주와 트래블 버블 시행 이틀 만에 국내 확진자가 발생했다. 확진된 ...Date2021.04.20 Category일반 -
뉴질랜드 코로나19 신규 확진 2명... '다른 나라 국경 개방 가능성' 아던 총리
1년 만에 친지들과 다시 만난 사람들 ©RNZ 오늘 뉴질랜드 코로나19(COVID-19) 신규 확진자는 입국자 격리 시설에서 2명 발생했다. 입국 금지가 시행되기 이전에 인도에서 도착한 사람들이다. 1명은 인도에서 아랍에미리트를 거쳐 4월 2일 입국, 도착 12...Date2021.04.19 Category일반 -
뉴질랜드 코로나19 신규 확진 4명... '이제부터 더 조심해야 하는 이유'
©NZ Herald 지난 금요일 이후 뉴질랜드 코로나19(COVID-19) 신규 확진자는 입국자 격리 시설에서 4명 발생했다. 2명은 케냐에서 도착한 일가족으로, 앞서 다른 가족 2명이 확진된 바 있다. 1명은 레바논에서 입국했으며 뉴질랜드 도착 당일 확진되었다....Date2021.04.18 Category일반 -
4월 말부터 '운전 중 휴대폰 사용 벌금' 2배로 인상
©123RF 운전 중 휴대폰 사용으로 부과되는 벌금이 2배로 오를 예정이다. 교통부 장관 마이클 우드(Michael Wood)는 4월 말부터 벌금이 $80에서 $150로 인상된다고 발표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운전 중 휴대폰에 신경을 빼앗겨 사망한 사람이 24명,...Date2021.04.16 Category일반 -
뉴질랜드 코로나19 신규 확진 1명... '화이자 백신 3회 맞아야 할 수도'
©NZ Herald 오늘 뉴질랜드 코로나19(COVID-19) 신규 확진자는 입국자 격리 시설에서 1명 발생했다. 이전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된 환자다. 앞서 확진자로 집계된 2명이 과거에 감염되었다 완치된 환자로 재분류되었다. 이들은 뉴질랜드 입국 전 국가에서...Date2021.04.16 Category일반 -
뉴질랜드의 미래를 좌우할 신세대... '모텔 세대' 도래?
©RNZ 치솟는 렌트비를 감당할 수 없어 긴급 숙소 제공업체를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뉴질랜드에 '모텔 세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금 뉴질랜드에서 임시 숙소(주로 모텔)에 사는 어린이는 4,000명이며, 이 중 1,...Date2021.04.15 Category홈리스 -
뉴질랜드 주택 매매 14년 만에 최고치, 예상 뒤엎은 거래량에 가격도 상승
©RNZ 뉴질랜드 주택 매매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거래량이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격도 25%나 올랐다. 지난 3월 부동산협회(REINZ)가 발표한 주택가격 지수는 3756으로 전년 대비 24% 상승했고, 전국의 주택 중간가격(median price)은 작년 $665...Date2021.04.15 Category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