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ff
코로나19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며 방역적으로 잘 대처한 국가로 뉴질랜드와 일본, 대만이 꼽혔다. 한국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블룸버그통신은 코로나19를 효과적으로 방어해 코로나 시대에 가장 살기 좋은 나라는 뉴질랜드, 일본, 대만, 한국 순이라고 24일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한 달 동안 인구 10만명 당 코로나19 확진자수와 사망률, 코로나19 진단 검사의 양성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순위를 매겼다.
이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뉴질랜드가 1위, 일본이 2위, 대만이 3위, 한국이 4위라고 통신은 밝혔다. 코로나19 대처를 잘 한 국가 10위 안에는 핀란드와 노르웨이, 호주, 중국, 덴마크, 베트남 등이 들었다. 미국은 18위였다.
뉴질랜드는 단호하고 신속한 조치로 코로나19를 효과적으로 방어해 전국적인 추가 확산을 막았다는 게 선정 이유였다. 블룸버그는 그러면서 “지역사회 대규모 행사가 재개됐고, 화이자 등 2개 백신 공급 계약도 맺었다”고 설명했다. 뉴질랜드에서 3월 26일 첫 코로나19 사망자가 발생하자 정부는 국경을 막아버렸다. 뉴질랜드는 관광산업의 의존도가 높은 국가라 쉽지 않은 결정이었으나 이후 코로나19 청정지역이 되며, 선제적인 움직임은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뉴질랜드와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코로나19 방역에 접근했다. 폐쇄를 하지 않은 채 과거 결핵환자를 추적하는 자체 시스템을 이용해 코로나19 확진자를 추적했다. 사실 최근 일본의 확진자는 겨울철의 영향으로 코로나19 확산 초기보다 늘었으나 인구 대비 중증 환자의 비율은 꽤 낮은 편이다.
대만은 지난해 12월 바이러스가 출현하자 중국 국경을 봉쇄했다. 그 결과 200일 동안 확진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한국은 신속한 진단검사 및 체계적인 추적으로 방역에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방역 당국은 국내 업체에서 자체 개발한 진단키트를 승인하고,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검사를 실시하는 등 초기에 발 빠르게 움직였다. 또 신용카드 기록과 휴대폰 전파 등을 추적해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공유해 추가 감염자를 막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1-20위 국가들의 코로나19 점수표
붉은색을 띨수록 나쁜 상황이며 파란색을 띨수록 좋은 상황이다. ©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확대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블룸버그 평가 코로나 회복력 지수, 10만명당 한 달 간 확진자 수, 한 달 간 치명률, 100만명당 사망자 수, 코로나19 진단 검사 양성 비율, 백신 접근성' 순으로 나타낸 코로나19 점수표
1-20위 국가들의 '코로나19 삶의 질' 점수표
붉은색을 띨수록 나쁜 상황이며 파란색을 띨수록 좋은 상황이다.
뉴질랜드는 GDP 성장 전망이 비교적 높은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확대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블룸버그 평가 코로나 회복력 지수, 사회봉쇄 정도, 이동자유 정도, 2020 GDP(국내총생산) 경제 성장 전망, 정부의 의료 지원 정도, 인간 개발 지수' 순으로 나타낸 '삶의 질' 점수표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는 UNDP가 매년 각국의 교육수준과 국민소득, 평균수명 등을 조사해 인간개발 성취 정도를 평가하는 지수다.
출처: 한국경제, 뉴스1, NZ Herald, Bloomberg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011259343i
https://www.news1.kr/articles/?4129237
https://www.bloomberg.com/graphics/covid-resilienc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