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캠프 박변호사

마약

국민투표 이후 나타난 뉴질랜드 대마초, 흡연 변화와 아이러니

by OneChurch posted Nov 22,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Untitled-8.jpg

©Family first NZ

 

최근 뉴질랜드 보건부가 시행한 조사(NZ Health Survey)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대마초 합법화 국민투표가 실시된 이후 1년 동안 국민들의 대마초 사용이 꾸준히 감소했다.

 

국민투표를 앞두고 대마초 합법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띤 찬반 논쟁이 시작된 2018/19년에는 대마초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2020년 국민투표에서 과반수의 반대로 인해 합법화가 철폐된 이후 대마초 사용(뉴질랜드인들은 적게는 1년에 1번에서 많게는 주기적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은 15.5%로 최고 정점에 도달했다가 이후 꾸준히 하락해 현재는 14.7%로 떨어졌다.

 

뉴질랜드 패밀리퍼스트(Family First NZ)는 마약 옹호자들의 마약 사용을 합법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같이 떨어진 것은 환영할 만한 추세라고 밝혔다. '모두가 대마초를 하고 있다'는 마약 옹호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 국민의 주간 대마초 사용량은 소폭 떨어져 4.3%라는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우려는 마오리(비마오리인보다 약 2배 높음)와 저소득층(1.8배 높음)의 두드러지는 대마초 사용이다. 하지만 좋은 소식은 나이와 성숙도에 따라 사용량이 급감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보건부의 조사에서 뉴질랜드 국민의 일일 흡연율이 이전의 거의 절반 수준인 8%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자담배 흡연율은 크게 증가했다. 뉴질랜드인의 8.3%가 매일 전자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이는 2015/16년 1%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5년까지 뉴질랜드를 금연 국가로 만드는 정부의 SmokeFree 2025 캠페인은 바람직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역시 마오리(비마오리인보다 약 3.5배 높음)와 저소득층(4.3배 높음)에서 일일 흡연율이 계속해서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고 있어 우려된다.

 

뉴질랜드 국민의 흡연 (지난 12개월 동안)

 

Untitled-9.jpg

흡연은 줄었다. 성인 38만 명이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amily first NZ

 

뉴질랜드 국민의 전자담배 VAPING 사용 (지난 12개월 동안)

 

Untitled-10.jpg

전자담배 사용은 늘었다. 성인 112만여 명이 전자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Family first NZ

 

현재 정부는 담배를 판매할 수 있는 소매점 수를 줄이고, 담배의 니코틴 함량 수준을 중독성이 없는 수준으로 대폭 낮추고, 2009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은 담배를 사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한편, 마약 옹호자들은 대마초를 합법화하고 접근 가능성을 높이자는 추진을 하고 있어 (담배는 피우지 못하게 하고 대마초는 피우게 하자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만약 뉴질랜드에서 대마초를 합법화했다면 대마초 업계는 발 빠르게 전자담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홍보를 펼치며 성공적으로 대마초 사업을 이끌었을 것이다. 이는 해외 사례를 통해 입증되었다(전자담배 사용자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2022년 구세군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에 뉴질랜드 법원이 내린 대마초 유죄 판결 건수는 2012년의 44%에 불과했다. 그러나 국제 연구에 따르면 마약 관련 유죄 판결 및/또는 교도소 수감형은 단순한 대마초 소지/사용 혐의가 아니라 다른 범죄와 관련된 것이었다 - 마약 복용 중 저지른 범죄(살인, 무장 강도, 절도, 폭행, 아동 학대 등) 또는 마약을 얻기 위해 저지른 범죄로 인해 내려진 판결이었다.

 

마약 옹호자들은 뉴질랜드에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대마초 소지/사용 혐의로 인해 전과자가 되어 일상 생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비범죄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마초 소지/사용 혐의로 인한 유죄 판결이 사실은 매우 적게 일어난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패밀리퍼스트는 공공의 안전과 건강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법은 마약을 제지하고 강제 치료를 요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 Office of Drugs and Crime)는 2022년 세계 마약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전 세계적으로 마약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마초가 합법화된 세계 일부 지역에서 매일 사용이 증가하고 대마초로 인한 건강 악영향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2022 세계 마약 보고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대마초가 합법화된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일일 대마초 사용량이 증가하고 대마초로 인한 건강 악영향이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대마초가 합법화된 북미 지역에서는 일일 대마초 사용량, 특히 높은 성분이 함유된 대마초 제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젊은층 사이에서 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마초와 관련해 정신 장애, 자살 및 입원 환자의 증가도 보고되었다.

 

마약 사용 증가는 또한 환경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실내에서 사용한 대마초가 발생시키는 *탄소 발자국은 실외 사용 대마초보다 평균 16~100배 더 높으며, 코카나무 잎에서 추출한 강력한 마약인 코카인 1kg의 탄소 발자국이 코코아 콩보다 30배나 더 높다. 이 외에도 마약 사용이 환경에 끼치는 악영향으로 대규모 삼림 파괴(나무 벌채) 등이 있다.

 

패밀리퍼스트는 "마약 사용 감소(어떤 약물이든)는 기뻐해야 할 이유다"라고 전했다.

 

 

*탄소 발자국은 개인 또는 단체가 직접 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 기체의 총량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이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연료, 전기, 용품 등이 모두 포함된다. 대기로 방출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물질이 지구의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카라이티아나 기자 onechurchnz@gmail.com

 

 

<저작권자 ⓒ 원처치 뉴질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를 인용하실 경우 '출처: 원처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familyfirst.org.nz/2022/11/21/cannabis-use-falling-since-referendum-outcome/


뉴질랜드 뉴스

뉴질랜드 기독교 관련 소식들을 전합니다.

  1. 뉴질랜드 안락사 시행 1년째 사망자 수... '안락사 확대 움직임'

    ©AFP 뉴질랜드에서 안락사가 시행된 지 이제 1년이 지났다. 뉴질랜드 언론 매체 RNZ에는 한 시민이 안락사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우려를 표하는 사설이 다음과 같이 실렸다. 사설: 뉴질랜드 안락사 시행 1년 후 '더 이상은 가지 말자' 지난 11...
    Date2022.11.23 Category안락사
    Read More
  2. 뉴질랜드 총리, 투표연령 16세로 낮추는 법안 추진

    ©Pool image   뉴질랜드 대법원이 투표 연령을 18세로 규정한 것은 젊은이들의 인권을 침해한 것이다는 획기적인 판결을 했다. 이번 판결은 젊은이들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기후위기와 같은 문제에 대해 투표를 통해 의사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
    Date2022.11.23 Category정치
    Read More
  3. 국민투표 이후 나타난 뉴질랜드 대마초, 흡연 변화와 아이러니

    ©Family first NZ   최근 뉴질랜드 보건부가 시행한 조사(NZ Health Survey)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대마초 합법화 국민투표가 실시된 이후 1년 동안 국민들의 대마초 사용이 꾸준히 감소했다.   국민투표를 앞두고 대마초 합법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띤 찬반 ...
    Date2022.11.22 Category마약
    Read More
  4. 한국 티머니, 뉴질랜드에 '버스-철도 결제·환승 시스템' 수출

    전광삼 티머니 부사장(가운데)과 마이클 우드 뉴질랜드 교통부 장관(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지난 14일 뉴질랜드 웰링턴 철도 AFC 시스템 오픈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티머니   티머니가 뉴질랜드 수도에 '철도-버스간 환승 시스템' 기반을 마련한다...
    Date2022.11.22 Category일반
    Read More
  5. 뉴질랜드 지방 의회 '코로나19 확산에 규제 다시 적용'

    ©123rf   뉴질랜드의 한 지역 의회가 코로나19 규제를 다시 도입해 전염병 확산 관리에 나섰다.   뉴질랜드 마나와투 구의회(Manawatū District Council)는 직원들 사이에서 코로나19 감염이 증가하고 3차 오미크론 유행이 시작된 만큼 코로나19 대응 조치를 ...
    Date2022.11.18 Category코로나19
    Read More
  6. '크리스마스는 스트레스가 많은 시즌' 102년을 섬긴 오클랜드 시티미션

    오클랜드 시티미션에서 봉사하고 있는 헬렌 로빈슨 ©RNZ   노숙인(홈리스)은 최대 30년까지 삶을 빼앗길 수 있습니다. 노숙 생활은 육체적, 정신적, 영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클랜드 시티미션(Auckland City Mission)과 같은 자선단체들이 말 그...
    Date2022.11.18 Category교계
    Read More
  7. 뉴질랜드 장로교, 화이트 리본 데이 특별 예배 요청 메시지

    ©PCANZ   2022년 11월 25일 화이트 리본 데이를 앞두고 뉴질랜드장로교단(PCANZ) 총회장 해미쉬 갤러웨이(Hamish Galloway) 목사가 교회들에게 예배 요청과 함께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했다.   화이트 리본 데이(White Ribbon Day)는 전 세계의 개인, 교회 ...
    Date2022.11.18 Category교계
    Read More
  8. 수교 60주년 한-뉴질랜드 총리 회담.. 아던 총리, 위로와 안보 우려 표명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중 17일 오후 태국 방콕 로즈우드 호텔에서 열린 한·뉴질랜드 양자회담 한국의 한덕수 국무총리가 자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와 악수를 하고 있다. ©NZME   뉴스1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
    Date2022.11.18 Category정치
    Read More
  9. '뉴질랜드 역사상 최초' 미혼 출산이 혼인관계 출산 앞섰다

    ©123RF   뉴질랜드에서 결혼하지 않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기의 수가 결혼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기의 수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오늘 통계청(Stats NZ)은 9월 30일 기준, 지난 1년 동안의 출생, 사망 수치를 발표했다. 전년보다 출생은 633명 감소했고 사...
    Date2022.11.17 Category일반
    Read More
  10. '뉴질랜드인들 최대 걱정거리 1-10위가 말해주는 것'

    ©Family first NZ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현재 뉴질랜드인들이 가장 걱정하는 문제는 예상대로 '높은 생활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패밀리퍼스트(Family First NZ)는 뉴질랜드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금 가장 걱정하는 3가지 문제가 무엇...
    Date2022.11.17 Category일반
    Read More
  11. 올 크리스마스 아이들 배와 스타킹 채우기에 나선 3개 단체

    ©STUFF   남섬 북부 말버러(Marlborough)의 자선단체 3곳이 물가고, 생활비 위기와 씨름하는 가정들을 위해 매우 분주하게 성탄절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구세군이 의뢰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많은 사람들이 크리스마스를 기념할 형편이 안 된다...
    Date2022.11.16 Category교계
    Read More
  12. 공원에서 열리는 커뮤니티 크리스마스 캐롤 행사 다시 찾아와

    ©BAY OF PLENTY TIMES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춤했던 지역별 크리스마스 캐롤 행사들이 다시 시민들 곁을 찾아오기 시작했다.   코로만델 인근 황가마타(Whangamata)에서는 Williamson Park에서 열리는 거대한 야외 크리스마스 캐롤 행사가 올해 성탄절 이...
    Date2022.11.16 Category교계
    Read More
  13. 뉴질랜드 인플레이션, 물가고 영향에 반려동물 유기 속출

    ©Newshub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반려견을 키우는 비용이 너무 높아 유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3일 뉴스허브(Newshub)를 비롯한 언론에 따르면 뉴질랜드 최대 경제 중심 도시 오클랜드에서 생계비 상승 등으로 인해 기르던 반려...
    Date2022.11.16 Category일반
    Read More
  14. 뉴질랜드 보건부 '코로나19 상황' 긴급 브리핑

    ©RNZ   올여름, 지난 겨울 대유행 때처럼 '하루 11,000명까지 오를 수 있다'   이번 여름은 지난 겨울과 비슷한 대규모 코로나19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하루 11,000명이 감염되고 100명씩 입원하는 정점에 달할 수 있다고 보건 당국자들은 ...
    Date2022.11.16 Category코로나19
    Read More
  15. '집집마다...' 300개의 무지개 깃발 걸고 나선 뉴질랜드 지역, 왜?

     300개의 프라이드 플래그가 걸릴 예정이다. ©RNZ   오클랜드의 한 지역 전체가 '동성애 혐오를 환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하기 위해 프라이드 깃발(동성애자 상징 깃발)을 게양하기로 결의해 나섰다.   *pride flag(프라이드 깃발): 성 소수자들이 자신의...
    Date2022.11.15 Category동성애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 265 Next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