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행사 날짜 2022-09-24

KakaoTalk_20220904_212016654.jpg

 

KakaoTalk_20220904_212016654_01.jpg

 

철학 세미나:

 

1회. 좋은 삶, 정의, 그리고 자유 (10월 15일)

우리는 어떻게 우리의 좋은 삶을 말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좋은 삶을 말할 때 정의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리고, 우리의 좋은 삶은 자유라는 개념과 어떤 방식에서 불가분의 관계 속에 놓여 있을까요?

 

2회. 다양한 자유의 모델 (11월 5일) 

인류는 자유에 관한 사고를 다양한 방식에서 발전시키며, 개정해 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자유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며 수용하고 있을까요?
여러분이 승인하고 계신 자유의 개념에 안부를 묻습니다.

 

3회. 다양한 자유의 모델과 정의론 (11월 19일)

인류가 발전시키고 개정해 온 다양한 자유의 모델은 각자에 어울리는 정의의 개념을 품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염두에 두고 계신 정의의 개념은 어떤 자유의 모델에서 도출된 모습일까요?
여러분에게 정의란 무엇인가요?

 

4회. 우리의 좋은 삶을 위한 가장 유망한 자유 모델 (12월 3일)

독일의 철학자 악셀 호네트(Axel Honneth)는 우리의 좋은 삶을 형식화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모델로써 사회적 자유 개념을 제안합니다.
호네트가 이야기하는 사회적 자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사회적 자유 개념을 통해 우리는 각자의 진정한 좋은 삶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까요?

 

5회. 사회적 자유에 기반한 정의론 (12월 17일)

우리가 사회적 자유를 적극적으로 승인한다면, 이제 정의의 개념은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사회적 자유 모델에서 정의란 더 이상 순수하게 형식적인 원리들을 우리 현실에 2차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 보다 정의란, 우리의 현실 분석과 더 긴밀한 관계에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정의는 우리에게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신학 세미나: 

 

1회: 기독교 신학은 기독교 신앙과 무엇이 다른가요? (10월  22일)
기독교 신학 전반의 간략한 이해를 통해 앞으로 이어지는 강의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게 도와 줍니다. 
간략한 신학적 방법론과 계시론 등 신학을 공부하기에 앞서 꼭 필요한 개념을 정리합니다. 

 

2회:  성경을 어떻게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11월 12일)
과학의 시대, 우리는 성경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고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문자주의 부터 성서비평까지 현대 그리스도교가 직면한 성서 이해 문제를 살펴 봅니다. 

 

3회: 다양성의 시대, 기독교는 다양성을 짓밟고 있지 않나요? (11월 26일)
유일신 하나님을 믿는 그리스도교에서 현대의 다양성은 어떻게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직면한 기독교 신앙의 문제와 현대 신학자들이 말하고 있는 기독교 안의 다양성에 대한 문제를 풀어 봅니다. 

 

4회: 나라를 구한 이순신 장군은 지옥에 갔을까요? (12월 10일)

사랑이신 하나님께서는 예수를 모르는 모든 이들을 지옥으로 보내셨을까요?
죄와 용서 그리고 화해에 이르는 구원의 개념을 기독교 신학 전반에 흐르는 십자가 정신과 현대 신학의 논의를 통해 정리 합니다.